코딩헤딩

자소서 | 포트폴리오 본문

뻘짓

자소서 | 포트폴리오

멈머이 2024. 1. 12. 16:54
728x90

* 단순프로젝트 나열 x

* 경험정리 중요함 차별화된 경험(현업의 직무상황과 유사한 환경)

* 타겟기업 리스트만들기(그 안에서 직무나 필요한 자격 찾기)

* 자소서에서의 표현법(ㅇㅇ를 못했다 =>x ㅇㅇ를 보완하기 위해서)

 

<자소서>

 

* 서류전형

 - 직무에 대한 이해도와 필요 역량 : 주요프로젝트 서술 직무 강점

 - 잘 맞는 인재인가 : 성격의 장단점 성장과정 협업경험

 - 회사에 대한 애정도가 있는가 : 지원동기 입사후 포부

 - 문서작성과 의사전달 능력 : 문항전체

 

 

* 차별화된 자소서

 - 차별화된 강점 도출

 -                스토리 도출 : 구체적인 노력사항을 적기

 -                현업이해도 어필  : 입사포부, 지원동기에서 구체적인 직무 목표를 적기 현업에서 무엇을 할지 찾아보

 

 - 프로젝트중 시간이 촉박해서 끝내지 못한 과제들을 기한 마김 후에도 리펙토링 한 적이 있나

  - 본 전공과 sw융합 강점과 가파른러닝커브가 비전공자의 강점 (성장력 어필)

 

 

* 이력서 자소서 작성법

 - 인적사항 : 기술블로그, 포트폴리오, git 등 항목 추가

 - 학력사항 : 

 - 교육이수 : 현재진행중인 교육 재학 / 구분;  교육내용은 학습내용 및 쥐득역량 / 활동사항은 지원하는 직무에 따라 다르게

 - sw역량 / 프로젝트 경험 : 보유기술 및 능력 작성시 언어등 구분값 표시기능

                                            기술 및 능력 판단 : 네이버 기술블로그 => 기술수준 확인가능

 

 

* 프로젝트 기술서 작성

 - 기간 / 인원 중요하다.; 기간을 통해 투입시간 규모확인 

 - 개요 : 대상층과 서비스 핵심내용 1줄로 요약

 - 담당역할 : 역할을 통해 업무 분배 확인

 - 기능 구현 : 자신이 개발했던 기능을 위주로 작성 / 프로젝트의 난이도 및 지원자가 프로젝트 전체에 기여한 부분 확인

 - 성과 및 배운점 : 주용성과치를 정량적으로 기술하면 가장 좋음

                            :  배운점 알게 된사실들 등 정성적으로 

 

 

* 자소서 작성

 - 읽기 쉽게 : 두괄식 / 읽는 사람이 쉽게

 - STAR기법 활용

 - 문항에 맞게 소재 매칭 : 

 1. 성장과정 : 가치관 배운점 인재상

 2. 성격의 장단점 : 가치관, 배운점, 봉사의식, 인재상

 3. 팀워크 경험 : 소통능력 , IT관심계기,. 목표달성, 협업, 조직적응

 4. 창의력 경험 : 아이디어, 도전의식

 5.힘들었던 경험 : 문제해결, 업무역량, 주도성, 책임감, 적응력, 능동성

 6. 성취경험 : 공동의 목표달성, 책임감, 목표달성, 업무역량, 경험에 대한 개방성, 도전의식

 

 - 직접역량 : 직접적으로 연결되는경험

 - 간접역량 : 지식+유사경험을 통해 연결되는 경험

 

 * 성장과정 

    - 인성 / 가치관 점검 (~해서 배운점, 변화를 준 사건/ 인물 , 생활신조 가치관, 규칙적인 습관, 학창시절 경험)

       성향을 나타내기 , 중심은 "나"  / 구체적 사례제시 시기는 상관없지만 20대

 

* 직무역량

 - 마지막 정리하며 역량 강조

 

* 지원동기 / 입사포부 : 기업분석 중요함, 인재상에 부합하는지 확인, 기업에 대한 이해 및 목적확인

    지원동기 : 기업에대해 알게 된 계기 / 비전 미션과 나의 가치관과 맞는 부분

    입사 후 포부 : 직무와 관련된 커리어 플랜, 기업이 주력하고 있는 사업에 기여할 수 있는 자신의 역량 연결

기업과 직무 선택이유 및 입사후 포부와 계획 구체적으로  => 전자공시 , 증권사 리포트 , 신년사 , 최근뉴스 및 이슈...

 

1. 기업분석/ 강점/ 발전가능성 확인후 동기 작성

2. 기업분석 및 채용분석 : 직무를 잘 수행할수 있는 이유는

 

8 갈등해결 경험

 - 협업지향인지 개인주의인지 확인

 - 기업 조직문화에 잘어우러지는지 확인

      갈등해결경험, 공동의 목표를 함께 달성한 경험

  => 서비스 기획 역할분배에 사용하는 기술 기능구형 디버깅등 다양한 상황에서 의견대립이있을 것이다.

 

정량적 : 수치화 직무역량을 보이기 편한소재 [직무역량]

정성적 : 사람의 매력을 보이기 편한 소재  [성장배경]

 

소재

우선순위 : 오랫동안 임한것 > 육체/정신적 극복소재 > 팀워크를 보이는소재 > 직무연관성이 짙은소재

 

재목[내용함축]> 리딩문단[두괄식] > 세부내용 > 마무리 문단   

 

<포트폴리오>

신입개발자의 포트폴리오에서는 얼마나 더 성장할 수 있는 사람인지 파악하려 함

 

구성단계 ; 개인프로필 > 주요프로젝트 > 기타 대외활동

 

반영요소

프론트 : 디자인 화면구성 ul ux구현을 위한 언어 기술

백 : rest api설계 db설계 언어 기술

 

학생느낌보다는 비지니스적으로

 

 

<git>

 * 업로드 전 확인 할 것

   - TIL저장소 만들고 학습한 내용 정리

 

버전관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