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훈련
- 예측
- 해석
- 파싱 오류
- python기초
- 데이터 수집
- 오라클
- 정확도
- 머신러닝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
- 회귀모델
- pythone
- 데이터 분석
- Deep Learning
- python
- 시각화
- MariaDB
- 데이터 가공
- DB
- sql
- HeidiSQL
- pandas
- Database
- Oracle
- 데이터전처리
- tensorflow
- 딥러닝
- sklearn
- keras
- Today
- Total
코딩헤딩
[데이터 분석] 데이터 테이블에 저장하기 본문
<데이터 저장 시에 유용한 라이브러리>
- sqlalchemy
- 설치 : pip install sqlalchemy
<데이터 조회시에 유용한 라이브러리>
- pymysql
- 설치 : conda install -c conda-forge pymysql
- 설치 : pip install pymysql
* 데이터 읽어들이기
import pandas as pd
전 글에서 저장까지 했던 csv 파일을 다시 읽어오겠다.
file_path = "./01_data/new_data.csv"
df = pd.read_csv(file_path)
df
다음의 값들을 데이터베이스에 넣기 위해서는 테이블 설계과정이 필요하다.
* 테이블 설계하기
- 테이블 명, 컬럼명, 컬럼타입, NuLL여부에 대한 정의가 필요함
* 산출물
- 테이블정의서
- ERD
- 스크립트명세서
* 스크립트 명세서
스크립트 명세서의 계획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sql 구문을 작성한다.
create Table time_power_demand(
ymd varchar(10) not NULL,
time varchar(4) not NULL,
power double not NULL);
SELECT*
FROM time_power_demand;
sql구문을 실행하면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껍데기가 생긴다.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넣을 공간이 생겼으므로 데이터를 넣어보겠다.
1. DB연결하기
from sqlalchemy import create_engine
import pymysql
앞서 소개한 라이브러리 2개를 import 해준다.
### 연결정보 작성
db_connection_info = "mysql+pymysql://gjuser:dbdb@localhost:3306/gjdb"
### Database 커넥션(연결) 하기
db_connection = create_engine(db_connection_info)
db_connection
이런 결과가 나온다면 연결성공!!
2. 데이터프레임을 Table에 저장시키기
### 데이터프레임의 컬럼명을 테이블의 컬럼명과 같게 수정
# - 데이터프레임의 컬럼명 전체 수정하기
df.columns = ["ymd", "time", "power"]
df
이 과정에서 컬럼명이 맞춰진다.
- 특정 컬럼명만 수정하고자 할 때 => 딕셔너리형태로 바꾼다
df.columns = [{"년도" : "ymd"}]
### 데이터 저장하기
df.to_sql(name="time_power_demand",
con=db_connection,
index=False,
if_exists="append")
결과 : 8760
코드 실행 후 데이터베이스를 새로고침 하면 데이터가 들어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name : 테이블명
- con : DB접속정보
- index : 데이터프레임의 인덱스 값을 포함할지 여부(True : 포함 / False : 미포함)
- if_exists
* append : 데이터를 기존 테이블에 추가
* fail : 아무 동작 하지 않기
* replace : 동일한 테이블이 존재하면 기존 데이터를 삭제하고 새로운
데이터로 저장
3. 데이터베이스 자원 반환 (접속 끊기)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넣는 작업이 다 끝났다면 데이터베이스와 연결을 끊어주어야 한다.
### 연결종료하기
db_connection.dispose()
'데이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분석] 교통데이터 전처리 / 시각화 (Heatmap) (0) | 2023.12.01 |
---|---|
[데이터 분석] 교통데이터 수집/가공 (2) | 2023.11.30 |
[데이터 분석] 데이터 조회하기 / 입력, 수정, 삭제 / 커서, 커넥션 (1) | 2023.11.29 |
[데이터 분석] 데이터 수집하기 (0) | 2023.11.29 |
[데이터 분석] 데이터전처리 기초 (1) | 2023.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