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pandas
- 해석
- tensorflow
- 데이터전처리
- 데이터 분석
- 시각화
- sql
- Deep Learning
- 데이터 수집
- 데이터베이스
- 예측
- HeidiSQL
- 데이터
- sklearn
- pythone
- python
- Oracle
- 정확도
- 파싱 오류
- 회귀모델
- 오라클
- 훈련
- DB
- 데이터 가공
- MariaDB
- 딥러닝
- keras
- Database
- 머신러닝
- python기초
- Today
- Total
목록명령어 (5)
코딩헤딩

파일질라까지 연결 스킵 Django 프로젝트는 다음 디렉터리에 있음 /opt/bitnami/apps/django/django_projects/tutorial 프로젝트 자체는 다음 디렉터리에 저장. /opt/bitnami/apps/django/django_projects/tutorial/tutorial 앱은 다음 디렉터리에 생성. /opt/bitnami/apps/django/django_projects/tutorial/tutorial/hello_world * 디렉터리가 없을 경우 sudo mkdir -p /opt/bitnami/apps/django/django_projects 다음과 같은 경로로 디렉터리 생성 * 만약 파일을 삭제하고 싶다면? (여러 개라면 띄어쓰기로 구분) sudo rm file1.txt..

Create(생성), Read(읽기), Update(갱신), Delete(삭제) 데이터 생성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명1, ..., 컬럼명N) VALUES(값1, ..., 값N) 데이터 입력 SELECT 조회할 컬럼1, 조회할 컬럼2... FROM 테이블명 데이터 수정 UPDATE 테이블명 SET 수정할 컬럼명1 = 수정할 값, 수정할 컬럼명2 = 수정할 값 WHERE 조건제시...(무조건) 데이터 삭제 DELETE FROM 테이블명 WHERE 삭제 조건 제시...(무조건) where는 if문과 비슷하다. -> where는 필수*****(특히 삭제 시 조건을 걸어주지 않으면 무분별하게 데이터가 지워질 수 있다.) 조건을 주지 않더라도 작성해서 오류를 의도적으로 발생시켜 확인해야 한다. 데이터..

MariaDB를 설치했다면 기본적인 사용방법을 알아보겠다. MariaDB에서 쿼리탭에서 명령어를 작성하게 된다. 작성한 명령어를 실행하려면? F9 : 작성된 전체 명령어 실행 ctrl=+shift+f9 : ;과; 사이에 영역 실행 커서가 있는 부분 실행 1. 주석 쓰기 - 한 줄 주석 : -- - 문장주석 : /* */ 2. 기본 명령어 1) db테이블 조회하기 SELECT * FROM db; * : 전체 데이터 의미 2) 사용할 db지정하기 USE mysql; 3) 내부 또는 외부 사용자 생성 및 삭제 - 내부 사용자 CREATE user 사용자명@localhost identified BY '설정 비밀번호'; - 외부 사용자 CREATE user '사용자명'@'localhost%' identified ..
* 아나콘다 기준 * 생성되어 있는 가상환경 확인하기 -> conda env list 지금부터 진행하는 폴더 위치는 무관함 *가상환경 생성하기 -> conda create -n [가상환경이름] python=[파이썬버전] * 가상환경 삭제하기 -> conda remove -n [가상환경이름] --all * 가상환경으로 들어가기(활성화시키기) -> conda activate [가상환경이름] * 가상환경에서 나오기(비활성화 시키기) -> conda deactivate * 설치되어있는 패키지 (라이브러리) 확인하기. -> conda list ====> 파이썬 버전에 맞는 최적화가 가장 잘된 버전의 패키지 설치 -> pip list ====> 가장 최신버전 설치 * 외부 에디터에서 가상환경을 연결(kernel) ..

최근 github에 스프링부트 프로젝트 파일을 공개로 올린 탓인지 데이터베이스가 털렸다. lighitsail에 호스팅 하기 위해 빌드하던 스프링부트 코드에 db암호와 주소다 노출됐다. 원격서버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있었기 때문인지 자꾸 db 연결에 실패한다는 오류와 함께 (10061)이라는 에러 코드가 나왔다. 해결방법은 간단하다 나의 경우에는 해킹? 후 로그를 돌려보다 데이터베이스가 꺼져있는 것을 확인했다. 명령어는 -> sudo service mariadb status 위 사진과 같이 Active에 빨간 글씨로 failed 라는 글씨를 볼 수 있다. 꺼져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다시 켜주기만 하면 된다. 명령어 -> sudo service mariadb start 그리고 다시 데이터베이스의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