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시각화
- 예측
- keras
- 정확도
- 데이터 가공
- 훈련
- 데이터
- Oracle
- 해석
- 파싱 오류
- python
- sql
- 회귀모델
- 데이터전처리
- tensorflow
- 오라클
- sklearn
- pandas
- Deep Learning
- python기초
- 데이터 분석
- 데이터 수집
- MariaDB
- HeidiSQL
- 머신러닝
- 데이터베이스
- pythone
- DB
- Database
- 딥러닝
- Today
- Total
목록python (24)
코딩헤딩

1) 조건이 1개일 때 *기존에 쓰던 형태 ls = list() for i in range(1,5): ls.append(i) print(ls) *리스트 내 for 문 ls = [i for i in range(1,5)] print(ls) 결과 : [1, 2, 3, 4] 위와 아래의 결과가 같지만, 코드를 간결하게 쓸 수 있다. ls = list() for i in range(1,5): if i % 2 ==0: ls.append(i*4) print(ls) ls = [i*4 for i in range(1,5) if i%2 == 0] print(ls) 결과 : [8, 16] 순서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 2) 조건이 2개 이상일 때 [표현식 for 항목1 in 반복가능객체 if 조건문1 for 항목2 in 반복..

7명의 심판의 점수를 받아서 최소, 최댓값을 뺴는 프로그램최소, 최댓값이 빠진 점수의 평균구하기*요구사항7멍의 심판들의 점수를 입력받아 리스트에 저장7번의 input필요입력값을 리스트에 저장최대 최소값 찾기평균 구하기scores = list()count = 0while count *코드설명scores = list()변수 scores는 list이다.count = 0while count 변수 count를 0으로 초기화해 주고,count가 7이 될 때까지 +1씩 올라가며 input에 데이터를 받는다.if point.replace('.','').isdecimal(): scores.append(float(point))점수는 숫자만 입력받도록 하기 위해 replace()를 사용하여 소수점 기호를 제거한 후 i..

1) 기본형태 print(2 > 1) 결과 : True a = [1, 2, 3] 1 in a 4 in a 1 not in a 4 not in a 결과 : True False False True 2) 단축실행 a = 3 b = 1 (a == b) and (a >= b) 결과 : False 우선순위에 있는 조건이 다르게 되면 뒤의 조건은 실행조차 되지 않음. (a >= b) and (a 두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True (a >= b) or (a 둘중 하나의 조건만 만족해도 True 2) 값 변수/ 참조 변수 1. 값 변수 a = 1 b = a b = 2 print(a, b) print(id(a), id(b)) 결과 : 1 2 140716933026600 140716933026632 => 메모리의 주소가..

1. 반복문 ja = 0 while ja < 10: ja += 1 print(f'짜장면을 {ja}그릇 먹었다.') if ja == 10: print('무료쿠폰이 지급 되었습니다.') ja = 0 while True: ja += 1 print(f'짜장면을 {ja}그릇 먹었다.') if ja == 10: print('무료쿠폰이 지급 되었습니다.') break 결과 : 짜장면을 1그릇 먹었다. 짜장면을 2그릇 먹었다. 짜장면을 3그릇 먹었다. 짜장면을 4그릇 먹었다. 짜장면을 5그릇 먹었다. 짜장면을 6그릇 먹었다. 짜장면을 7그릇 먹었다. 짜장면을 8그릇 먹었다. 짜장면을 9그릇 먹었다. 짜장면을 10그릇 먹었다. 무료쿠폰이 지급 되었습니다. while과 while True 둘의 결과는 같다. 차이점이라면 ..

예시 1) 기본형태 a = {'name' : 'merry','age' : 30} print(a) 결과 : {'name': 'merry', 'age': 30} 많이 헷갈리는 것 a = {['name', 'age'] : ['merry', 30]} 이런 식으로 쓰면 에러 난다. 무조건 {key : value, key : value} 형식을 지켜줘야 한다. 예시 2) dic = { 'name' : 'merry', 'num' : 1, 'birth' : 'jan' } print(dic) dic = { 'name' : ['merry', 'john'], 'num' : [1, 2, 3, 4], 'birth' : ['jan', 'feb', 'nov'] } print(dic) 딕셔리의 value에 list로 들어올 수 있다..

예시 1) set()을 쓰며 집합을 만든다. s1 = set([1, 2, 3, 4, 5]) s2 = set('Hello') s3 = set([1, 2, 3, 4, 5, 5, 3]) s4 = set([1, 2, 2, 3]) print(s1, type(s1)) print(s2, type(s2)) print(s3, type(s3)) print(s4, type(s4)) 결과 : {1, 2, 3, 4, 5} {'e', 'H', 'l', 'o'} {1, 2, 3, 4, 5} {1, 2, 3} s2의 알파벳과 s3, s4의 경우와 같이 중복되는 값이 있다면 중복을 제외하고 나열된다. 예시 2) # 집합에 사용되는 연산 - 교집합 : intersection => (&) - 차집합 : differnce => (-) - ..

https://coding-heading.tistory.com/23 python 기초 1 (마크다운 문법 + 변수) 1. 마크다운 문법 # 제목정하기 (크기) # 제목 ## 제목 ### 제목 #### 제목 ##### 제목 이텔릭 *기울기* 별표사용. 이텔릭 _기울기_ 언더바사용. 볼드 **두껍게** 별표 2개 사용. 마크다운을 사용하기 위해 coding-heading.tistory.com https://coding-heading.tistory.com/24 python 기초 2 (숫자형) https://coding-heading.tistory.com/23 python 기초 1 (마크다운 문법 + 변수) 1. 마크다운 문법 # 제목정하기 (크기) # 제목 ## 제목 ### 제목 #### 제목 ##### 제목..